로그인 회원가입
배가본드
서편제

 

 

1960년대 초의 전라도 보성의 소릿재.

 소리품을 팔기위해 어느 마을 대가집 잔치집에 불러온 소리꾼 유봉(김 명곤)은 그곳에서 김규철의 어머니

금산댁을 만나 자신이 델고 다니는 양딸 송화(오 정혜)와 함께 새로운 생활을 시작한다

금산댁은 애를 낳다 죽고 만다.

김 명곤은 틈틈히 오 정혜 에겐 소리를 동호에겐 북을 가르쳐 둘은 소리꾼과 고수로 한쌍을 이루며 자란다.

 

허나,소리를 들어주는 사람이 줄고 냉대와 멸시로 동호는 집을 뛰쳐 나간다,

유봉은 그 뒤를따라 송화마져 따라갈지 모른단 생각에 소리의 완성에 집착해 약을 먹여 송화의 눈을 멀게 한다

자신때문에 눈이 먼 송화에 대한 죄책감을 견디지 못한 유봉은 고백하고선 죽고 만다.

허나,

송화는 그런 것을 알지만 자신을 위해 먹여주고 길러준 유봉에 대한 미움은 없다.

너무도 순수한 마음의 소유자라설까?

홀로남은 송화는 눈이 멀어 소리로 생활하면서 연명하지만....

추억을 잊지 못하는 규철은 그를 찾아 나서 결국 만난다

손님을 가장해서 소리를 듣고서 눈물을 흘리지만 끝내 자신을 나타내지 않고서 떠난다

그가 바로 규철이란 것을 모르지 않는 정혜.

규철의 북 장단솜씨가 동호임을 모를리 없었다.

그를 두고 쓸쓸히 떠나는 규철의 모습이 왠지 서글픈 한편의 우리네 모습같다.

이별,

또 다른 아픔을 가져다 줄지도 모를 이별.

 

한 가족의 애달픈 애기지만, 전편에 흐르는 판소리는 이 영화의 백미가 아닐까?

특히나,

셋이서 돌담장길에서 부르는 진도 아리랑은 이 영화의 진수고,한편의 동양화 같았다.

덩실 덩실추는 춤 속에서 한국인의 한을 느낄수 있었고. 애달픈 가락속에서 묻어나는

슬픔은 바로 우리네 한많은 삶의 모습과도 같았다.

떠돌이 소리꾼의 삶.

냉대와 배 고픔에서도 진정한 소리꾼을 꿈꾸는 명창, 김 명곤.

 

오 정혜의 딱 부러지는 판소리와 서글픈 스토리.,

거장 임 권택 감독 작품이라 선지...

처음 부터 끝까지 진지하게 보게 했다.

<진도 아리랑>을 하는 대목은 왜 그렇게도 슬퍼 보였을까?

서편제를 두번째 봤지만....

명작임에 틀림없는거 같다.

 

 

 

 

 

 

 

 

 

 

 

 

 

 

 

 

 

 

댓글 작성

일기장 리스트

12 1862 사랑과 고독, 그리고... 6956 독백 98

히스토리

키쉬닷컴 일기장
일기장 메인 커뮤니티 메인 나의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