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인생을 살아간다.
삶이라는 거대한 둘레와 짧은 시간 안의 공간을 누리며 살아간다.
삶을 조금 더 다체롭게 하기위해서 공부를 한다.
이런 시공 안에서 하루를 보내고 일주일을 살고
1년이 지나고 나이를 먹어간다.
시간에 따라 당연히 이루어져 갈것이라는 기대
그 기대 안에서 이치라는 것이 파생이 된다.
대체적으로 당연히 이루어질 것이라는 생각의 흐름과 결정들
그런데 이런 이치 안에서
인간의 삶은 의미를 가질 수 없다고 하는 시공의 근거들이 생겨난다.
조금더 이치의 근거들을 마련해야 할까?
진정 이치가 진리에 가까울까?
그럼 삶을 어떤 척도로 객관성을 이룰 수 있을까?
삶이라는 것이 참 주관적이다.
나에 의해 이루어져 있고 기준점을 나로 표현하기 힘들다.
여러가지 생각의 표괄을 이루기 위해 이치를 빌어 쓴 면이 많은 것 같다.
하지만 이치는 사람을 생각하는 면이 적은 것 같다.
아니 사람의 삶의 이치를 이치로 표현하기 부적절한 면이 많은 것 같다.
그럼 거대하게 포장이 되어져 있는 진리라는 말을 빌어써야 할까?
삶의 진리.... 하하하
아니 삶의 이치를 더욱 포괄해야 할까?
어떤한 말로 나의 귀중한 삶이라는 것을 표현 할 수 있을까?
진리는 너무 성스러운 것 같다.
삶은 성스럽지 않은 데 말이다.
좀 더 공부를 해 보고 객관적인 나와 여러 사람의 삶이란 것을
포괄할 수 있는 말을 생각해 봐야겠다.
Public Hidden Add Reply
우리는 인생을 살아간다.
삶이라는 거대한 둘레와 짧은 시간 안의 공간을 누리며 살아간다.
삶을 조금 더 다체롭게 하기위해서 공부를 한다.
이런 시공 안에서 하루를 보내고 일주일을 살고
1년이 지나고 나이를 먹어간다.
시간에 따라 당연히 이루어져 갈것이라는 기대
그 기대 안에서 이치라는 것이 파생이 된다.
대체적으로 당연히 이루어질 것이라는 생각의 흐름과 결정들
그런데 이런 이치 안에서
인간의 삶은 의미를 가질 수 없다고 하는 시공의 근거들이 생겨난다.
조금더 이치의 근거들을 마련해야 할까?
진정 이치가 진리에 가까울까?
그럼 삶을 어떤 척도로 객관성을 이룰 수 있을까?
삶이라는 것이 참 주관적이다.
나에 의해 이루어져 있고 기준점을 나로 표현하기 힘들다.
여러가지 생각의 표괄을 이루기 위해 이치를 빌어 쓴 면이 많은 것 같다.
하지만 이치는 사람을 생각하는 면이 적은 것 같다.
아니 사람의 삶의 이치를 이치로 표현하기 부적절한 면이 많은 것 같다.
그럼 거대하게 포장이 되어져 있는 진리라는 말을 빌어써야 할까?
삶의 진리.... 하하하
아니 삶의 이치를 더욱 포괄해야 할까?
어떤한 말로 나의 귀중한 삶이라는 것을 표현 할 수 있을까?
진리는 너무 성스러운 것 같다.
삶은 성스럽지 않은 데 말이다.
좀 더 공부를 해 보고 객관적인 나와 여러 사람의 삶이란 것을
포괄할 수 있는 말을 생각해 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