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철나라
이제는 완성할 때다. 중반기의 완성을 위해
10%의 구조조정


집단의 특별한 10%

많은 개체들이 집단을 이루면 특별한 현상을 보이는 것이 연구결과로 나오고 있다.
곤충들의 집단인 개미나 벌 등도 마찬가지로 10% 정도가 조직을 이끌며 열심히 일하는 가하면 반면 10% 정도는 빈둥거리며 지낸다는 학설이 있다.
사람의 조직에서도 마찬가지인 현상이 나타난다고 한다.
조직의 우수한 리더들만 모아서 집단을 이뤄놓으면 그 중에서 10%가 다시 빈둥거리는 역할을 한다니 참 재미있는 현상이다.
조직을 이끌어 나가는 10%가 물론 중요하지만, 빈둥거리는 10%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집단을 잘 이끌어 나가는 데는 바로 이 빈둥거리는 10%를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실제 이 그룹에게는 조직에서 불이익을 주거나 기업의 위기시 본보기로 삼아 조직 전체에 위기의식을 심어 주는 역할을 한다.
기업에서는 이런 운영이 이미 정착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물론 이들 빈둥거리는 10%에게도 끊임없이 기회가 주어진다. 인사 노무팀의 직무 조정이나 부서이동 등의 기회를 주어진다.
그러나 재미있는 것은 이런 빈둥거리는 10%가 항상 생긴다는 것이다.
때문에 조직내 에서는 경쟁이 생기게되고 기업의 관리는 언제나 10%의 구조조정이 언제나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집단을 이끌어 가는 10%그룹에게 상을 주는 것과, 빈둥거리는 10%에 벌을 주는 것에 따라 나머지 80%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전체 조직이 침체 되느냐 활력이 넘치는 조직으로 나가느냐는 바로 이들에게 어떻게 공정하게 상벌이 주어지느냐에 달려있다.

항상하는 이야기지만 "이 일은 내가 할 일이 아니다"라는 생각이 문제다.
누가 해야 할 일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해야 할 일이다.
어떻게 해 나갈 것인가는 많은 사람이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이뤄지게 되어있다.
모든 일이 억지로 되는 일은 없다. 그러나 조직 구성원들이 이런 생각을 많이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스스로 이뤄지도록 만들어 지는 것이 당연한 이치다.

댓글 작성

일기장 리스트

황당한 오늘 148 새로운 출발을 위해 38 2012년까지 569 따뜻한 방 31 차가운 방 10

히스토리

키쉬닷컴 일기장
일기장 메인 커뮤니티 메인 나의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