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배가본드
안압지

 
 


  



통일 시기 영토를 넓히는 과정에 많은 부를 축적한 왕권은 극히 호화롭고 사치한 생활을 누리면서 크고 화려한 궁전을 갖추는데 각별한 관심을 두었다. 그리하여 통일 직후 674년에 안압지를 만들었으며, 679년에는 화려한 궁궐을 중수하고 여러 개의 대문이 있는 규모가 큰 동궁을 새로 건설하였다.

임해전과 안압지에 대한 기록을 「삼국사기」에서 살펴보면 궁내에 못을 팠다는 기록이 문무왕 14년(674)과 경덕왕 19년(760)에 두 번 나타나며, 임해전에서 군신에게 연을 베풀었다는 기록이 효소왕 6년(697)과 혜공왕 5년(769)에 있다. 또 소성왕 2년(800)에는 임해문과 인화문이 파손되었다고 전하고 있다.

1980년 안압지에서 발굴된 토기 파편 등으로 안압지의 원명이 '월지'이고 둥궁은 월지궁으로 불렀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는 안압지가 반월성 가까이에 있고 또 둥궁의 위치가 연못 속에 비치는 아롱거리는 달을 감상하기 알맞다는 심증적 이유 때문이다. 이 견해에 따르면 안압지라는 현재의 이름은 거의 본래의 모습을 잃은 못가에 무성한 갈대와 부평초 사이를 오리와 기러기들이 날아다니자 조선의 묵객들이 붙인 것이라고 한다.

못은 동서 길이 약 190m, 남북 길이가 약 190m의 정방향 평면이며, 면적은 1만 5,658평방미터(4,738평), 세섬을 포함한 호안 석축의 길이는 1,285m이다. 못가의 호안은 다듬은 돌로 쌓았는데 동쪽과 북쪽은 절묘한 굴곡으로 만들고, 서쪽과 남쪽에는 건물을 배치하고 직선으로 만들었다. 서쪽 호안은 몇 번 직각으로 꺾기도 하고 못 속으로 돌축시키기도 했다. 따라서 못가 어느 곳에서 바라보더라도 못 전체가 한 눈에 들어오지 않으며 연못이 한없이 길게 이어진 듯 여겨진다.

못 속에는 섬이 세 곳이 있는데, 세섬의 크기가 각기 다르고 윤곽선 처리가 자연스럽다. 발해만의 동쪽에 있다고 삼신도(방장도, 봉래도, 영주도)를 본딴 것이다. 동쪽과 북쪽의 호안에는 무산 12봉을 상징하는 언덕들을 잇달아 만들어놓았다. 높이는 일정하지 않으나 3m에서 6m 정도이며 선녀들이 사는 선경을 상징한다. 「삼국사기」문무왕 14년조를 보면 '궁 안에 못을 파고 가산을 만들고 화초를 심고 기이한 짐승들을 길렀다.'고 기록되어 있다.

동북남쪽 호안의 높이는 2.1m 정도이고 궁전이 있는 서쪽 호안은 5.4m로 좀더 높다. 이는 못가의 누각에 앉아 원을 내려다볼 수 있게 배려한 높이이다. 안압지는 바라보는 기능으로 만들어진 궁원이다. 지척에 있는 무산 12봉이 아득하게 보이도록 협곡을 만들고, 삼신도와 무산 12봉 등 선경을 축소하여 피안의 세계처럼 만들었다.

연못 서쪽과 남쪽의 건물터 등을 조사한 결과 건물터 26동, 담장터 8곳, 배수로 시설 2곳, 입수부 시설 1곳 등이 밝혀졌다. 1980년에는 연못 서쪽 호안에 접하여 세워졌던 5개의 건물터 중에서 3개를 복원시켰으며, 건물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곳에는 초석을 복원하여 노출시켰다. 유물은 와전류를 포함하여 3만여 점이 나왔다.

현재 국립경주박물관 안압지관에 사용했던 생활용기들을 비롯하여 나무배 등 700여 점의 대표 유물이 전시되고 있는데, 단일 유적지에서 출토된 유물로 전시관 하나를 다 채운 것도 보기 드문 일이다. 안압지에서 발견된 유물들은 부장품적인 성격을 갖고 있는 신라 무덤의 출토품과는 달리 실생활에서 사용되었던 것이 대부분이다.

>



이조시대 매월당 김 시습은,
신라의 안압지에 들려, 모심히 노니는 오리를 보고서
신라 멸망으로 가는 이런 연못때문에..........
멸망을 필연으로 보고 시를 읊었단다
그가 읊은 시 「안하지구」에


'못을 파 바다 삼으니 고기 헤엄치고 우렁 가네.

물을 대는 용 모가지 뿜어대는 모양새 우뚝도 하네.

이 모든 풍광이 신라의 망국을 부른 일인데

이 봉에사 눈물 대어 나락논 적시네!'


그러고 보면,
안압지는 일반서민과는 동떨어진 호화로움을 보여주기 위한
왕을 위한 호화스런 연못인거 같다.
그게,
신라 멸망을 앞당긴건진 몰라도,
호화롭게 살았고 사치를 했던게 멸망의 한 원인이 되었던
신라..

통일의 위업을 기리고자,뭔가 궁궐에 화화로움을 만들필요가
있어 문무왕이 그런 걸 만들었을까?
죽은 원혼이라도 ,
멀리 떨어진 동해바다에서 왜구로 부터 신라를 지켜야 겠다는
애국충절로 자기가 죽으면 동해바다에 수장해 달라던 유언을
했다던 문무왕.
이해가 잘 되질 않는다.



유황오리집,
안압지가 오리가 노닐던 곳이란 것 밖엔 어떤 의미도 부여할수
없는데, 왜 안압지라 지었을까.........

신라의 호화로운 궁궐안에 만든 연못.
혹시?
그곳에 오는 손님을 왕들의 화려한 연회를 배푸는 곳으로
착각하기 위한 의도적인 발상 아닐까.

신라의 퇴락한 궁궐터에 있는 안압지.
어제, 우리가 회식했던 안압지도 그런 퇴락한 궁궐의 적적함
이 감도는 것 같이 조용했다.
불황이 바로 이런 고급식당가에 먼저 번진단 것을 안압지에
가보면 느낄수 있었다.





 

댓글 작성

일기장 리스트

12 1868 사랑과 고독, 그리고... 6956 독백 98

히스토리

키쉬닷컴 일기장
일기장 메인 커뮤니티 메인 나의 정보